한국어↔일본어 개발 용어 정리
한국어↔일본어 개발 용어 정리
한국에서 쓰는 개발 용어를 일본 현지에서 어떤 표현으로 쓰는지, 그리고 각각의 의미를 한 줄로 정리했습니다. 실제 현업/면접/문서에서 자주 보이는 표현과 뉘앙스를 우선으로 담았습니다.
참고: 일본어 표기는 카타카나/한자로 흔히 쓰는 형태를 우선 표기했으며, 필요시 축약형(영문)도 병기했습니다.
전반(개념/업무)
- 아키텍처 ↔ アーキテクチャ : 시스템의 구조/설계 원리 전반.
- 설계 ↔ 設計(せっけい) : 요구사항을 구조/인터페이스로 구체화.
- 사양/스펙 ↔ 仕様(しよう)/スペック : 기능/동작에 대한 문서화된 정의.
- 요구사항 ↔ 要件(ようけん) : 제품/기능이 충족해야 할 조건.
- 기술 부채 ↔ 技術的負債(ぎじゅつてきふさい) : 단기 편의로 생긴 장기 유지보수 비용.
- 리팩토링 ↔ リファクタリング : 동작 보존하며 내부 구조 개선.
- 성능 최적화 ↔ パフォーマンス最適化 : 응답/자원 효율 개선.
- 확장성 ↔ スケーラビリティ : 부하 증가 시 수평/수직 확장 용이성.
- 신뢰성 ↔ 信頼性 : 장애에도 안정적 동작/복구 능력.
- 가용성 ↔ 可用性 : 서비스가 사용 가능한 시간 비율.
- 일관성 ↔ 一貫性 : 데이터/상태의 모순 없는 정합성.
- 일시적 일관성 ↔ 最終的整合性(Eventual Consistency) : 시간이 지나 일관성 수렴.
- 동시성 ↔ 並行性(へいこうせい) : 시간 중첩 실행(논리적 동시).
- 병렬성 ↔ 並列性(へいれつせい) : 물리적으로 동시에 실행.
- 경쟁 상태 ↔ 競合状態(レースコンディション) : 예상치 못한 접근 순서로 인한 버그.
- 데드락 ↔ デッドロック : 상호 대기 교착 상태.
- 멱등성 ↔ 冪等性(べきとうせい, Idempotency) : 동일 요청 반복 시 결과 불변.
- 부작용 ↔ 副作用 : 함수 외부 상태 변경/입출력.
- 불변성 ↔ 不変性 : 상태를 직접 변경하지 않음.
협업/프로세스/깃
- 저장소 ↔ リポジトリ(Repo) : 코드/이슈 등 프로젝트 저장 공간.
- 브랜치 ↔ ブランチ : 독립 개발 라인.
- 머지 ↔ マージ : 변경 통합.
- 리베이스 ↔ リベース : 커밋 기반 재정렬.
- 풀 리퀘스트 ↔ プルリクエスト(PR) : 변경 검토/통합 요청.
- 코드 리뷰 ↔ コードレビュー : 동료가 품질/설계를 검토.
- 이슈 ↔ イシュー/課題 : 작업/버그 단위 관리 항목.
- 스프린트 ↔ スプリント : 타임박스 개발 주기(애자일).
- 데일리 스크럼 ↔ デイリースクラム/朝会(あさかい) : 짧은 진행 공유 회의.
- 킥오프 ↔ キックオフ : 프로젝트/스프린트 시작 회의.
- 회고 ↔ レトロスペクティブ : 주기적 프로세스 개선 논의.
- CI/CD ↔ 継続的インテグレーション/デリバリー : 자동 빌드/테스트/배포 파이프라인.
- 파이프라인 ↔ パイプライン : 단계적 자동화 흐름.
- 아티팩트 ↔ アーティファクト : 빌드 결과물.
프론트엔드
개요/기초
- 프론트엔드 ↔ フロントエンド :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클라이언트 레이어.
- DOM ↔ DOM(ドム) : 문서 객체 모델.
- 가상 DOM ↔ 仮想 DOM : 변경 최소화를 위한 추상 표현.
- 접근성 ↔ アクセシビリティ(a11y) :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접근 가능.
- 반응형 ↔ レスポンシブ : 화면 크기에 유연 대응.
- 뷰포트 ↔ ビューポート : 렌더링 기준 화면 영역.
- 디자인 시스템 ↔ デザインシステム : 재사용 가능한 UI 규칙/컴포넌트.
- i18n/로컬라이즈 ↔ 国際化/ローカライズ(i18n/l10n) : 다국어/지역화 대응.
렌더링/앱 구조
- SPA ↔ シングルページアプリケーション(SPA) : 단일 페이지 내 라우팅.
- MPA ↔ マルチページアプリケーション(MPA) : 페이지 단위 전체 로드 구조.
- CSR ↔ クライアントサイドレンダリング(CSR) : 브라우저에서 HTML 생성.
- SSR ↔ サーバーサイドレンダリング(SSR) : 서버에서 HTML 생성.
- SSG ↔ スタティックサイトジェネレーション(SSG) : 정적 파일 선생성.
- ISR ↔ インクリメンタル静的再生成(ISR) : 변경된 페이지만 정적 재생성.
- 하이드레이션 ↔ ハイドレーション : 클라이언트에서 이벤트/상태 부여.
- 아일랜드 아키텍처 ↔ アイランドアーキテクチャ : 부분 하이드레이션 중심 구성.
- 스트리밍 SSR ↔ ストリーミング SSR : HTML을 스트림으로 점진 전송.
- 에지 렌더링 ↔ エッジレンダリング : 에지/CDN에서 가까이 렌더.
모듈/번들링
- ES 모듈 ↔ ES モジュール(ESM) : 표준
import/export
모듈 시스템. - CommonJS ↔ CommonJS(コモン JS) :
require
기반 모듈 형식. - Import Map ↔ インポートマップ : 브라우저에서 모듈 경로 매핑.
- 번들러 ↔ バンドラー : 모듈을 하나로 묶는 도구.
- Webpack ↔ ウェブパック : 플러그인 기반 대표 번들러.
- Vite ↔ ヴィート : ESBuild 기반 초고속 개발 서버/번들.
- Rollup ↔ ロールアップ : 라이브러리 번들에 적합한 번들러.
- esbuild ↔ イーエスビルド : 고성능 트랜스파일/번들 도구.
- 트랜스파일 ↔ トランスパイル : 문법 변환(예: TS→JS).
- 폴리필 ↔ ポリフィル : 미지원 기능 호환 코드 추가.
- 트리 셰이킹 ↔ ツリーシェイキング : 미사용 코드 제거.
- 코드 스플리팅 ↔ コードスプリッティング : 청크 단위 분할 로딩.
- 소스맵 ↔ ソースマップ : 변환 코드와 원본 매핑 정보.
- 동적 import ↔ ダイナミックインポート : 필요 시점에 모듈을 지연 로드.
PWA
- PWA ↔ プログレッシブウェブアプリ(PWA) : 설치/오프라인/푸시 지원 웹앱.
- 서비스 워커 ↔ サービスワーカー : 캐시/오프라인/백그라운드 동작 제어.
- 웹 앱 매니페스트 ↔ Web App マニフェスト : 설치/아이콘 등 앱 메타정보.
- Workbox ↔ ワークボックス : 서비스 워커 캐시 전략 툴킷.
웹 컴포넌트
- 웹 컴포넌트 ↔ Web Components(ウェブコンポーネンツ) : 표준 기반 캡슐화 UI 구성 요소.
- 커스텀 엘리먼트 ↔ カスタムエレメント : 사용자 정의 HTML 태그.
- 섀도 DOM ↔ シャドウ DOM : 스타일/구조 캡슐화 경계.
- Lit ↔ リット : 경량 웹 컴포넌트 프레임워크.
CSS/스타일
- CSS 모듈 ↔ CSS Modules(CSS モジュール) : 클래스명을 로컬 스코프화.
- CSS-in-JS ↔ CSS-in-JS(シーエスエス・イン・ジェイエス) : 자바스크립트로 스타일 선언/조합.
- PostCSS ↔ ポスト CSS : 플러그인 기반 CSS 변환.
- 오토프리픽서 ↔ オートプレフィクサ : 벤더 접두사 자동 추가.
- BEM ↔ BEM(ベム) : 블록/엘리먼트/모디파이어 명명 규칙.
- 유틸리티 퍼스트 ↔ ユーティリティファースト CSS : Tailwind 등 원자적 클래스 중심.
- 컨테이너 쿼리 ↔ コンテナクエリ : 부모 크기 기준 조건부 스타일.
- CSS 레이어 ↔ カスケードレイヤー : 선언 우선순위를 레이어로 관리.
- 서브그리드 ↔ サブグリッド : 하위 그리드가 상위 트랙을 공유.
- 뷰 트랜지션 API ↔ View Transitions API(ビュー・トランジションズ API) : 페이지/라우트 전환 애니메이션 표준.
- CSS Houdini ↔ CSS Houdini(フーディーニ) : CSS 확장 저수준 API 집합.
성능/로딩/측정
- Intersection Observer ↔ インターセクションオブザーバ : 스크롤/가시성 관찰.
- 지연 로딩 ↔ レイジーローディング : 이미지/모듈을 필요 시점에 로드.
- prefetch/preload ↔ プレフェッチ/プリロード : 사전 로드 힌트로 체감 개선.
- 프리렌더 ↔ プリレンダー : 사전 렌더링으로 즉시 표시.
- 이미지 최적화 ↔ 画像最適化 :
srcset/sizes
/picture
로 반응형 제공. - 이미지 포맷 ↔ WebP(ウェッピー)/AVIF(エイブイアイエフ) : 고효율 이미지 코덱 포맷.
- 폰트 표시 ↔ font-display(フォントディスプレイ) : FOIT/FOUT 동작 제어.
- 코어 웹 바이탈 ↔ コアウェブバイタル : LCP/CLS/INP 등 체감 지표.
- TTFB/TTI/TBT ↔ TTFB/TTI/TBT(ティーティーエフビー/ティーティーアイ/ティービーティー) : 응답/상호작용/블로킹 시간 지표.
- Lighthouse ↔ ライトハウス : 성능/접근성/SEO 진단 도구.
라우팅/브라우저 API
- 클라이언트 라우팅 ↔ クライアントルーティング : History API로 경로 전환.
- History API ↔ ヒストリー API : 브라우저 기록/주소 제어.
그래픽/계산
- Canvas ↔ キャンバス : 비트맵 기반 2D 렌더링.
- SVG ↔ エスブイジー : 벡터 그래픽/아이콘.
- WebGL ↔ ウェブジーエル : GPU 가속 2D/3D 렌더링.
- WebGPU ↔ ウェブジーピーユー : 차세대 저수준 GPU API.
- WebAssembly ↔ ワズム : 브라우저용 바이너리 실행 포맷.
- 오프스크린 캔버스 ↔ オフスクリーンキャンバス : 워커에서 캔버스 처리.
- 웹 워커 ↔ ウェブワーカー : 백그라운드 스레드로 연산 분리.
React/Next.js
React 기본
- React ↔ リアクト : 선언형 UI 라이브러리.
- 컴포넌트 ↔ コンポーネント : UI를 이루는 재사용 단위.
- 함수형 컴포넌트 ↔ 関数コンポーネント : 함수로 정의하는 컴포넌트 형태.
- 클래스 컴포넌트 ↔ クラスコンポーネント : 클래스 기반(레거시 유지보수에서 가끔 사용).
- JSX ↔ JSX(ジェイエスエックス) : JS 안에서 XML 유사 문법으로 UI 표현.
- Props ↔ プロップス : 부모→자식으로 전달되는 읽기 전용 값.
- State ↔ ステート : 컴포넌트 내부의 변경 가능한 상태.
- key ↔ キー : 리스트 재조정 시 항목 식별자.
- useState 훅 ↔ useState(ユースステート) : 간단한 상태 저장 훅.
- useEffect 훅 ↔ useEffect(ユースエフェクト) : 부작용 처리/구독/정리 훅.
- useMemo 훅 ↔ useMemo(ユースメモ) : 계산 결과 메모이제이션.
- useCallback 훅 ↔ useCallback(ユースコールバック) : 함수 메모이제이션.
- useRef 훅 ↔ useRef(ユースレフ) : 변경 가능 참조/DOM 참조 보관.
- useReducer 훅 ↔ useReducer(ユースリデューサー) : 리듀서 패턴으로 상태 관리.
- useContext 훅 ↔ useContext(ユースコンテキスト) : 컨텍스트 값 소비.
- useLayoutEffect 훅 ↔ useLayoutEffect(ユースレイアウトエフェクト) : 렌더 직후 동기 레이아웃 작업.
- useTransition 훅 ↔ useTransition(ユーストランジション) : 낮은 우선순위 전환.
- useDeferredValue 훅 ↔ useDeferredValue(ユースディファードバリュー) : 값 지연으로 응답성 개선.
- 컨트롤드 컴포넌트 ↔ 制御コンポーネント : 입력 값을 state로 완전 제어.
- 언컨트롤드 컴포넌트 ↔ 非制御コンポーネント : DOM이 값/상태를 보유.
- Portal ↔ ポータル : DOM 트리 외부로 렌더링.
- Suspense ↔ サスペンス : 비동기/지연 경계를 통한 UI 대기 처리.
- Error Boundary ↔ エラーバウンダリ : 하위 렌더링 오류 캡처/대체 UI.
- Strict Mode ↔ ストリクトモード : 잠재 문제 탐지/경고 모드.
React 고급
- 서버 컴포넌트 ↔ サーバーコンポーネント : 서버에서 렌더되는 React 컴포넌트.
-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↔ クライアントコンポーネント :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컴포넌트.
Next.js 기본
- Next.js ↔ ネクスト JS : React 기반 풀스택 프레임워크.
- 앱 라우터 ↔ App Router(アプリルーター) :
app/
디렉토리 기반 최신 라우터. - 페이지 라우터 ↔ Pages Router(ページズルーター) :
pages/
디렉토리 기반 라우터. - 파일 기반 라우팅 ↔ ファイルベースルーティング : 폴더/파일 구조로 경로 정의.
- 레이아웃 ↔ レイアウト : 경로 세그먼트 간 공유 UI.
- ‘use client’ 지시자 ↔ ‘use client’ ディレクティブ :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선언.
- 서버/클라 컴포넌트 분리 ↔ サーバー/クライアントの分離 : 실행 위치에 따른 경량화.
Next.js 라우팅
- 라우트 세그먼트 ↔ ルートセグメント : 경로 단위의 UI/데이터 경계.
- 라우트 그룹 ↔ ルートグループ : URL에 영향 없이 구성만 그룹화.
- 병렬 라우트 ↔ 並列ルート : 여러 UI 영역을 동시에 렌더.
- 인터셉트 라우트 ↔ インターセプトルート : 외부 경로를 일시 가로채서 표시.
- 동적 라우트 ↔ 動的ルート :
[id]
등 파라미터화된 경로. - generateStaticParams ↔ generateStaticParams(ジェネレートスタティックパラメータ) : 정적 경로 사전 생성.
Next.js 데이터/캐싱
- 데이터 페칭 ↔ データフェッチング : 서버/클라에서
fetch
기반 데이터 로드. - 캐시 ↔ キャッシュ : 요청/렌더 결과 재사용.
- revalidate ↔ revalidate(リバリデート) : ISR 갱신 주기 설정.
- 동적 렌더링 ↔ 動的レンダリング : 요청마다 서버에서 렌더.
- force-cache/force-dynamic 옵션 ↔ force-cache/force-dynamic : 강제 캐시/동적 모드.
- revalidateTag/revalidatePath ↔ revalidateTag/revalidatePath(リバリデートタグ/パス) : 태그/경로 단위 캐시 무효화.
- 라우트 핸들러 ↔ ルートハンドラー :
app/api
에서 핸들러 정의. - Server Actions ↔ サーバーアクション : 서버에서 직접 뮤테이션/폼 처리.
Next.js 렌더링/런타임/최적화
- 스트리밍+서스펜스 ↔ ストリーミング+サスペンス : 점진 렌더/데이터 대기 경계.
- 에지 런타임 ↔ エッジランタイム : 에지에서 저지연 실행.
- Node.js 런타임 ↔ Node.js ランタイム : 표준 Node API 활용.
- 미들웨어 ↔ ミドルウェア : 요청 전 인증/리라이트 등 전처리.
- next/image ↔ next/image(ネクスト・イメージ) : 자동 크기/포맷/지연 로딩 최적화.
- next/font ↔ next/font(ネクスト・フォント) : 폰트 서브셋/표시 전략 관리.
- Metadata API ↔ メタデータ API : SEO/OGP 메타 정보 선언.
- 국제화 라우팅 ↔ 国際化ルーティング : 다국어 경로/리다이렉트 관리.
- Turbopack ↔ ターボパック : 차세대 번들러/개발 서버.
- 정적 내보내기 ↔ 静的エクスポート : 정적 자산으로 내보내기.
- 프리뷰 모드 ↔ プレビューモード : 초안/비공개 콘텐츠 미리보기.
모바일
- 네이티브 앱 ↔ ネイティブアプリ : 플랫폼 전용 언어/SDK 사용.
- 하이브리드 ↔ ハイブリッド : 웹뷰+네이티브 혼합.
- 크로스플랫폼 ↔ クロスプラットフォーム : 단일 코드로 다중 플랫폼.
- React Native ↔ React Native(リアクトネイティブ) : JS 기반 크로스플랫폼.
- Swift/Kotlin ↔ Swift(スウィフト)/Kotlin(コトリン) : iOS/Android 주력 언어.
- SwiftUI/Compose ↔ SwiftUI/Jetpack Compose : 선언형 UI 프레임워크.
- 코드 서명 ↔ コードサイニング : 배포용 인증/무결성 보장.
-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↔ プロビジョニングプロファイル : iOS 빌드 권한 설정.
- 테스트플라이트 ↔ TestFlight(テストフライト) : iOS 베타 배포.
상태 관리
- 상태 관리 ↔ 状態管理 : 전역/지역 상태 일관 제어.
- 상태관리 예 ↔ Redux(リダックス)/Zustand(ズスタンド)/Recoil(リコイル)/RxJS(アールエックスジェイエス)/Signals(シグナル) : 대표적 상태 관리 접근.
백엔드/API
- 백엔드 ↔ バックエンド : 비즈니스 로직/데이터 처리 레이어.
- REST ↔ REST(レスト) : 리소스 중심의 HTTP API 스타일.
- GraphQL ↔ グラフキューエル : 단일 엔드포인트, 필요한 필드만 질의.
- gRPC ↔ gRPC(ジーアールピーシー) : 고성능 바이너리 RPC.
- 웹소켓 ↔ WebSocket(ウェブソケット) : 양방향 지속 연결.
- API 게이트웨이 ↔ API ゲートウェイ : 인증/라우팅/레이트 제한 집중화.
- 모놀리스 ↔ モノリス : 단일 배포 단위의 대규모 앱.
- 마이크로서비스 ↔ マイクロサービス : 느슨히 결합된 작은 서비스 집합.
- 메시지 큐 ↔ メッセージキュー : 비동기 처리용 버퍼/브로커.
- 배치 ↔ バッチ : 일정/대량 일괄 처리.
- 워커 ↔ ワーカー : 백그라운드 작업 실행 주체.
- 캐시 ↔ キャッシュ : 반복 조회 가속을 위한 임시 저장.
- 레이트 제한 ↔ レート制限 : 단위 시간당 요청 제한.
- 서킷 브레이커 ↔ サーキットブレーカー : 연쇄 장애 차단 패턴.
데이터베이스
- 관계형 DB ↔ リレーショナルデータベース(RDBMS) : 테이블/관계 기반.
- NoSQL ↔ NoSQL(ノーエスキューエル) : 비관계 스키마(문서/키값 등).
- 스키마 ↔ スキーマ : 데이터 구조 정의.
- 마이그레이션 ↔ マイグレーション : 스키마/데이터 변경 이력화.
- 트랜잭션 ↔ トランザクション : 원자성 있는 작업 단위.
- 격리 수준 ↔ 分離レベル : 동시성 시 일관성 보장 정도.
- ACID ↔ ACID : 트랜잭션의 핵심 특성.
- 인덱스 ↔ インデックス : 조회 성능 향상용 보조 구조.
- 파티셔닝 ↔ パーティショニング : 데이터 분할 저장.
- 샤딩 ↔ シャーディング : 수평 분할/스케일아웃.
- 리플리카 ↔ レプリカ : 읽기 부하 분산/고가용 복제본.
- 장애 조치 ↔ フェイルオーバー : 장애 시 자동 전환.
- ORM ↔ ORM : 객체-관계 매핑 계층.
- N+1 문제 ↔ N+1 問題 : 반복 조회로 과도한 쿼리 발생.
보안
- 인증 ↔ 認証(にんしょう, Authentication) : 사용자/시스템의 신원 확인.
- 인가 ↔ 認可(にんか, Authorization) : 권한에 따른 접근 허용.
- OAuth ↔ OAuth(オーオース) : 위임 인증/인가 프레임워크.
- JWT ↔ JWT(ジェイダブリューティー) : 서명된 토큰 기반 인증.
- MFA ↔ 多要素認証 : 2단계 이상 인증 절차.
- 최소 권한 ↔ 最小権限の原則 : 필요한 권한만 부여.
- 시크릿 관리 ↔ シークレット管理 : 키/토큰 안전 저장/회전.
- XSS ↔ クロスサイトスクリプティング(XSS) : 스크립트 주입 취약점.
- CSRF ↔ クロスサイトリクエストフォージェリ(CSRF) : 위조 요청 유도.
- SQL 인젝션 ↔ SQL インジェクション : 쿼리 주입 공격.
- SSRF ↔ サーバーサイドリクエストフォージェリ(SSRF) : 서버가 내부로 요청하도록 유도.
- CSP ↔ コンテンツセキュリティポリシー(CSP) : 리소스 로드 정책으로 공격 차단.
- 입력 정제 ↔ サニタイズ : 위험한 입력 정리/무해화.
- 이스케이프 ↔ エスケープ : 특수문자 처리로 주입 차단.
테스트/품질
- 단위 테스트 ↔ ユニットテスト : 작은 단위 로직 검증.
- 통합 테스트 ↔ 結合テスト : 모듈 간 상호작용 검증.
- E2E 테스트 ↔ エンドツーエンドテスト : 사용자 시나리오 종단 검증.
- 목/스텁 ↔ モック/スタブ : 외부 의존성 대체.
- 픽스처 ↔ フィクスチャ : 테스트용 고정 데이터/상태.
- 스냅샷 테스트 ↔ スナップショットテスト : 렌더 결과 스냅샷 비교.
- 플레이키 테스트 ↔ フレイキーテスト : 간헐적으로 실패하는 테스트.
- 회귀 ↔ リグレッション : 수정으로 기능이 역행하는 현상.
- 커버리지 ↔ カバレッジ : 테스트로 실행된 코드 비율.
- 스모크 테스트 ↔ スモークテスト : 기본 동작 확인용 얕은 검증.
인프라/DevOps
- 컨테이너 ↔ コンテナ : 격리된 실행 환경(이미지 기반).
- 도커 ↔ Docker(ドッカー) : 컨테이너 빌드/실행 도구.
- 쿠버네티스 ↔ Kubernetes(クーバネティス/K8s) :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.
- 오케스트레이션 ↔ オーケストレーション : 배포/스케일링 자동 관리.
- 서비스 메시 ↔ サービスメッシュ : 서비스 간 통신/관찰/보안 계층.
- IaC ↔ インフラのコード化(IaC) : 선언형으로 인프라 관리.
- 테라폼 ↔ Terraform(テラフォーム) : IaC 도구.
- 앤서블 ↔ Ansible(アンサブル) : 구성/배포 자동화.
- 모니터링 ↔ 監視 : 메트릭/로그/트레이싱으로 상태 관찰.
- 로깅 ↔ ロギング : 이벤트 기록/분석.
- 트레이싱 ↔ トレーシング : 분산 호출 경로 추적.
- SLI/SLO/SLA ↔ SLI/SLO/SLA : 지표/목표/합의 수준.
- 블루그린 배포 ↔ ブルーグリーンデプロイ : 두 환경 전환 배포.
- 카나리아 릴리스 ↔ カナリアリリース : 일부 트래픽으로 점진 배포.
- 롤백 ↔ ロールバック : 문제 시 이전 상태로 복귀.
데이터/ML
- ETL/ELT ↔ ETL/ELT : 데이터 적재/변환 흐름.
- 데이터 파이프라인 ↔ データパイプライン : 수집→처리→저장 일련 과정.
- 특성 ↔ 特徴量(フィーチャ) : 모델 입력 변수.
- 학습/추론 ↔ 学習/推論 : 모델 훈련/예측 실행.
- 하이퍼파라미터 ↔ ハイパーパラメータ : 학습 동작 조절 변수.
- 과적합 ↔ 過学習 : 학습 데이터에만 과도 적합.
- 과소적합 ↔ 過小適合/アンダーフィッティング : 복잡도 부족으로 저성능.
- 교차 검증 ↔ 交差検証 : 데이터 분할 반복 평가.
용어 번역 팁/현지 뉘앙스
- PR ↔ プルリク(Casual)라고 축약해 자주 사용합니다.
- 스펙/사양 ↔ 문맥상 仕様이 정식 문서/요건 의미에 더 자주 쓰입니다.
- 쿠버네티스 ↔ 현지 발음은 クーバネティス가 일반적이나 K8s(ケーツーエス)도 자주 씁니다.
- 애자일 용어 ↔ スクラム, スプリント, レトロ 등 영문을 그대로 카타카나로 표기합니다.
- 데일리 회의 ↔ デイリースクラム 또는 朝会가 모두 통용됩니다.